Research Paper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30 November 2019. 837-847
https://doi.org/10.9711/KTAJ.2019.21.6.837

ABSTRACT


MAIN

  • 1. 서 론

  •   1.1 개 요

  •   1.2 원격 자동소화설비 주요특징

  • 2. Test Bed 개요

  •   2.1 개 요

  • 3. 원격 자동소화설비 개선방안

  •   3.1 H/W 주요 개선사항

  •   3.2 S/W 주요 개선사항

  •   3.3 관제설비 적용방안

  • 4. 결 론

1. 서 론

1.1 개 요

국내 도로는 교통혼잡에 따른 경제적 손실방지 및 지상 녹지공간 구축과 같은 친환경 선진화 교통망 구축을 계획하고 있으나 지상부 도로확충 공간부족, 막대한 용지 보상비, 토지 소유자와의 이해관계 등의 문제로 사업추진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어 새로운 교통공간을 창출할 수 있는 강력한 해결책으로 국내외에서는 대심도 지하공간을 이용한 교통망 개발이 활발하게 추진 중(Park et al., 2017)에 있다.

새로운 지하교통망 구축(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부산 만덕-센텀 지하도로 등)으로 교통혼잡 등 기존 대비 많은 어려움이 해소될 것이라 예상되나, 장대화 및 폐합된 지하도로는 많은 통행차량으로 인해 터널 이용자에게 화재 안전에 대한 위험성은 증가한다. 특히 터널 내 화재가 발생되면 화원으로 인한 구조물 붕괴 또는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방재시설과 화재연기로 인한 대피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피 안전시설 역시 필수적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터널 화재로 인한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초기화재진압이 필수적이므로 1등급 도로터널에는 물분무 설비를 설치(Fig. 1)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일정구역에 물을 분사시켜 화재 초기진압을 도모하고, 최종 화재 진압자인 소방차가 현장에 도착하여 완전한 화재 진압을 수행한다(Yoo et al., 2016).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ta/2019-021-06/N0550210608/images/kta_21_06_08_F1.jpg
Fig. 1.

Water spray extinguishing system installed on the side wall in road tunnel

하지만 이러한 1등급 도로터널은 전체 터널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소수의 도로터널에만 Table 1과 같이 물분무설비가 적용(권고설비)되고 있는 실정이다(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Table 1. Facilities for damage prevention installation pursuant to criteria of tunnel grade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Tunnel grade
Grade 1 Grade 2 Grade 3 Grade 4
Extinguishing system Extinguishing devices
Indoor fire hydrant
Water spray
● Basic facility: According to the tunnel length standard grade
○ Basic facility: According to risk index standard grade

터널 방재기준을 따르는 1등급 도로터널을 제외한 2~4등급 터널에 적용되는 초기 화재진압 시설은 방재 기본시설인 옥내소화전 소화설비와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소화기가 있다. 소화기의 경우, 터널 내 소규모 화재발생으로 인한 화재진압은 용이하나 가연성 재료 탑재 차량으로 인한 급작스런 폭발 및 소화용량이 부족하며 옥내소화전은 중대형 화재진압에 사용될 수 있으나, 현장에서 화재진압을 직접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행위자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최종 화재진압자인 소방대원이 진입 후 부족한 소화용수를 대체하기 위한 설비로 사용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 설계개발중인 대심도 복층터널도 기존 도로터널과 동일하게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이 적용되나, 복층터널의 낮은 형고와 장대화로 인하여 화재 위험성이 높고 낮은 형고로 인하여 화원이 직접적으로 상부 슬래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급작스런 콘크리트 취성파괴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화원이 확대되기 전에 초기 화재진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기존의 도로터널 및 복층터널에 설치된 기존 방재시설의 개선 또는 강화가 필요하며, 초기진압대응을 목표로 인적 ‧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옥내소화전 소화설비의 소화용수를 활용하여 터널 관리자가 화재발생 시 즉각적인 초동조치가 가능하도록 원격 자동소화설비를 개발하였다(Park et al., 2018).

1.2 원격 자동소화설비 주요특징

원격 자동소화설비는 터널 내 화재 감지센서 또는 영상유고시스템에 의해 감지된 화재발생 신호가 터널 관리실 또는 인근 소방서로 전송되고, 화재 발생을 인지한 터널 관리자가 모니터를 통하여 옥내소화전 배관에 연결된 분사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화재초기에 진압 또는 화재확산을 지연하여 인적 ‧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기술이다. 본 기술은 도로터널에 40~50 m마다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옥내소화전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발생 시 터널 관리자가 모니터를 통하여 화재를 초기에 직접적인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이다(Park et al., 2017).

원격 자동소화설비는 Fig. 2와 같이 본체부/컨트롤러부/관제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에는 옥내소화전 소화용수가 Flexible Hose로 연결되는 주입부를 비롯하여 직 ‧ 분사가 가능한 분사노즐과 화재현장 모니터링을 통한 정확한 분사를 할 수 있는 CCTV가 있다. 또한 상하좌우 조절이 가능한 P/T (Panning/Tilting) Driver와 옥내소화전 소화용수의 개폐가 가능한 MOV (Motor operated valve)로 구성되어 있다. 현장에 설치되는 컨트롤러부는 직 ‧ 분사, Panning/Tilting, CCTV영상제어, MOV 구동이 가능한 제어부, Data 통신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제 제어부는 주요 Server를 제어하기 위해 이중화로 구성되어 긴급상황 발생시에도 시스템이 원활히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Client는 최소한 2대 이상으로 구성하여 화재 시 인접한 전후방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동 원격소화설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GUI가 구성되어 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ta/2019-021-06/N0550210608/images/kta_21_06_08_F2.jpg
Fig. 2.

Operating process for remote control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2. Test Bed 개요

2.1 개 요

옥내소화전을 이용한 원격 자동소화설비를 개발하기 위해 시작품을 제작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터널실험동에서 Fig. 3(a)~3(c)와 같이 성능검증을 수행하였다. 직 ‧ 분사를 통한 초기 화재진압능력 및 관리자 원격제어 구현 여부 등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차량 화재 발생 후 최대 5분 이내에 30 m 거리에서 화재진압이 가능한 성능을 확보하였다(Park et al., 2017).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ta/2019-021-06/N0550210608/images/kta_21_06_08_F3.jpg
Fig. 3.

Remot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ndoor performance verification experiment and field application

서울시와의 협의를 통하여 구룡터널에 원격 자동소화설비를 3개소(터널 중앙부)에 설치하는 Test Bed를 Fig. 3(d)와 같이 계획하였다. 시범 설치 후 화재 위험에 대비하여 임시 화재 상황을 발생시켜 대처 훈련을 수행함으로서 터널 운영 및 관리자의 화재 대응 능력을 제고함과 동시에 소방시설(원격 자동소화 시스템) 성능 점검을 목적으로 소방훈련을 수행(Fig. 4)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ta/2019-021-06/N0550210608/images/kta_21_06_08_F4.jpg
Fig. 4.

Fire drill performance verification test for remot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acility

3. 원격 자동소화설비 개선방안

위와 같이 우수한 초기 화재진압성능 및 기술적인 개선을 통한 원격 자동소화설비의 Test Bed를 통하여 연구개발물에 대한 우수한 성과를 도출하였으나, 운영자측면에서 조작의 용이성, 설비의 자동제어 및 상태파악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H/W 및 S/W측면에서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3.1 H/W 주요 개선사항

원격 자동소화설비는 원거리에서 직사 형태로 방수거리를 확보함으로서 화재 진압 또는 지연시키며 근거리에서는 분사형태로 화재를 덮어 화재진압이 용이하도록 Fig. 5와 같이 국외에서 개발한 방식으로 적용되었다(Yoo et al., 2016). 하지만 실규모 화재실험 및 Test Bed를 통해 운영자 측면에서 자동제어 부분의 H/W 주요 개선사항을 Table 2와 같이 도출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ta/2019-021-06/N0550210608/images/kta_21_06_08_F5.jpg
Fig. 5.

Case of foreign application of automatic spraying equipment

Table 2. Improvement plan of the remot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acility

Contents Improvement plan
Body parts
(injection valve)
Need to improve automatic control of long distance direct injection and near field injection.
MOV
(motor operated valve)
Need for improvement of MOV existing product application for automatic and manual opening and
closing of fire extinguishing water for indoor fire hydrant.
P/T driver
(panning/tilting driv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riving output because the overload was generated by the main body part
and the pressure more than 3.5 bar for driving the remot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Visibility/Easy operation Camera and spray nozzles are installed horizontally during the pilot installation, but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that causes side wall interference and aiming point error when driving left and right.

Table 2에 대한 성능개선을 위해 Fig. 6과 같이 자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기어부를 제작하였고 구동이 가능한 자동모터부 및 외부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직 ‧ 분사가 가능한 관창노즐을 활용하여 제어가 가능한 모터와 기어부 및 관창부에 기어와 연결되어 직 ‧ 분사가 자동화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다. 직 ‧ 분사 자동 제어부 초기제작은 직 ‧ 분사 위치 파악이 어려워 강제 일방향 구동에 따른 잦은 과부하로 인한 기어부 파손 방지를 위해 Pick-up 코일을 이용하여 전자기파로 발생된 신호를 카운팅하여 모터 작동에 따른 위치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상부에 소화용수 유입이 가능한 중간 연결부는 베어링을 통하여 상부 볼트부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하좌우 구동에 따른 조작 시 저항이 걸리지 않도록 설계제작 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ta/2019-021-06/N0550210608/images/kta_21_06_08_F6.jpg
Fig. 6.

Injection part design and prototyping

원격 자동소화설비는 터널에 설치된 옥내소화전 용수를 사용하여 분사되기 때문에 기존 사용되는 옥내소화전 배관에 MOV를 설치하여 상황 발생 시 밸브가 개방되어 소화용수를 설비에 공급될 수 있도록 자동 개폐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원격으로 개폐가 가능하고, 밸브 상태와 Block valve개폐상태를 실시간 감시, 동결에 따른 파손방지 등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존 MOV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원격 자동소화설비 전용 MOV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Fig. 7의 제작사진 및 설치사진과 같이 적용되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ta/2019-021-06/N0550210608/images/kta_21_06_08_F7.jpg
Fig. 7.

Automatic MOV design and prototype production of fire extinguishing pipe

P/T Driver는 원격 자동소화설비를 상하좌우로 구동하는 형태로 초기에 40 W DC 24 V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계제작하였다. 하지만 자체 실험결과 P/T Driver 내부 구동기어가 작게 제작되어 회전이 매우 빨라 정확한 화재지점에 분사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3.5 bar 이상의 수압으로 인하여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Flexible hose 자체에 강한 압력으로 인한 외력이 발생되어 기존 40 W 모터의 출력으로는 구동이 불안전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 DC모터 출력부를 40 W에서 60 W로 교체 및 기어비를 개선을 통하여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개선하였고 관제부에서 사용자가 조작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시범설치를 통한 분사노즐과 카메라의 수평설치에 대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Fig. 8과 같이 상부에 분사노즐을 설치하고 카메라를 하부에 설치함으로서 좌우구동에 따른 측벽의 간섭을 최소화 하는 형태로 제작하였다. 또한 상부 분사에 따른 카메라 전면부의 물로 인한 시야 방해를 막기 위해 마운트를 설치하여 시인성을 개선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ta/2019-021-06/N0550210608/images/kta_21_06_08_F8.jpg
Fig. 8.

Remot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acility

3.2 S/W 주요 개선사항

옥내소화전 자동소화설비는 제어 부분은 크게 상하좌우 구동, 노즐의 직 ‧ 분사, CCTV관제, MOV 개폐로 나누어져 있다. 이러한 제어를 위해 해당 요소별 통신을 통한 제어가 필수적이며, 관리자가 쉽게 상태점검이 가능하도록 GUI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터널방재시스템에 직접 연동하여 적용될 수 있으나 독립적인 운영시스템을 구성하여 GUI를 개발하였고, 아래의 Table 3과 같이 운영자 제어측면에서 성능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Table 3. Improvement plan of operating system

Contents Improvement plan
Operation control monitoring Need to implement GUI and S / W improvement considering fire suppression scenario for
accurate site identification and operation control.
Status check Need to improve operation check through real-time status check for remot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nd MOV.

본 시스템의 운영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정확한 화재지점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정확한 조준으로 초기화재진압 성능을 높여야 한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전방의 차량으로 인한 시야확보가 어려울 경우, 맞은편 소화설비를 화재방향으로 돌려 분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Fig. 9(b)와 같이 2개의 화면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S/W를 개선을 하였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제어부분에 대한 컨트롤이 용이하도록 아래의 Fig. 9(c)와 같이 제어부를 전용 구동을 위한 자체 PCB제작을 하였으며, 전용 조작 컨트롤러와 키보드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각 제어 기능은 GUI에 표기하여 운영자가 조작하기 용이하게 구성하였다. 또한 관리자가 정확한 좌우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수평 레이저 포인터를 설치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ta/2019-021-06/N0550210608/images/kta_21_06_08_F9.jpg
Fig. 9.

Remote control system control PCB board and laser beam

원격 자동소화설비를 관제실에서 평상시 원격 자동화 설비를 관제실에서 주기적인 상태파악을 통하여 작동여부를 인식하기 위해 모니터링GUI상 각 요소별 상태점검 기능 구현이 가능하도록 현장에 설치되는 컨트롤러부와 제어부 개선을 계획하였으며 현재 연구 수행 진행 중이다.

3.3 관제설비 적용방안

옥내소화전을 이용한 원격 자동소화설비의 자체실험 및 Test Bed를 통하여 실용화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도로터널에 40~50 m마다 설치된 옥내소화전 상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자동소화설비 설치를 고려할 경우, 원격제어에 적용 가능한 관제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필요사항을 고려하여 설계방안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복층터널도 기존 도로터널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설계로 적용되어야 하며 설계방안을 아래의 Fig.10과 같이 구성하였다. 또한 원격 자동소화설비와 옥내소화전 소화용수를 제어하는 MOV가 다수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신의 안전성을 위하여 광통신 Network로 설계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ta/2019-021-06/N0550210608/images/kta_21_06_08_F10.jpg
Fig. 10.

Design drawing plan of remot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facility tunnel

운영 Server는 영상 및 제어를 하기 위한 장비로서 유고검지시스템과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원격 자동소화설비를 운영하기 위한 Server의 기본 제원은Table 4와 같이 구성되도록 설계하였다.

Table 4. Main design specification of operation server

Main design specifications related to operation server Main design specifications for image
- Built in fail over operation software /
Built in image management software
- Support to RTSP/RTP/UDP network protocol
- Minimum Inter Xeon Silver 4110
- Minimum memory 32 GB PC4-2400T
- Minimum ethernet 10/100/1000 Base-T RJ45 2Port
- Built-in video recording function of full HD camera
- Built-in video streaming function
- MEPG4, H.264 video CODEC support- storage controller

4. 결 론

1. 원격 자동소화설비 직 ‧ 분사 원격제어를 위해 회전수 측정을 위한 Pick-up 코일 및 제어통신을 추가하여 H/W를 개선하였으며, 관리자가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GUI개선을 하였다.

2. 옥내소화전 소화용수의 원격 개폐 및 상태 감시를 위해 Motor operated type 형태로 성능을 개선하였으며, 관리자가 원격으로 제어 및 상태감시가 가능하도록 Data 수집장치 추가 및 GUI를 개선하였다.

3. 기존 Panning 및 Tilting 구동시 본체부 편심하중 및 소화용수 주입압력으로 인한 P/T 구동부 문제해결을 위해 기존 모터(DC 24 V)의 출력을 40 W에서 60 W로 증가 및 구동 속도의 기존 기어비(Ratio)를 변경하여 운영자가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성능개선을 하였다.

4. Test Bed를 통하여 분사부와 CCTV의 수평설치에 대해서 회전 시 측벽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직으로 제작하였으며 용수에 따른 CCTV 시야방해를 해소하기 위해 상부 마운트를 추가하였다.

5. 화재 운영대응에 대한 전방 차량 시야감소에 따른 화재지점 분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화재 전방 소화설비를 회전시켜 전방 CCTV를 활용하여 화재지점 시야 확보가 가능하고 모니터 2개를 사용한 듀얼 모니터링을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운영 S/W부 성능개선을 하였다.

위와 같이 원격 자동소화설비의 상용화 시제품 및 Test bed를 바탕으로 방재시설 지침 중의 하나인 ‘도시부 소형차 전용터널 방재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 원격자동살수 설비로 지침 적용 되어 도심지 소형차 전용도로에 위험도평가2등급 이상, 터널길이 3 km 이상 소화설비로 권장시설로 적용되어 있으며, 현재 도로터널에 설계 반영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옥내소화전 소화용수를 이용한 원격 자동소화설비는 향후 방재시설에 원천기술의 하나로 발전되길 기대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9년 건설기술연구사업의 ‘대심도 복층터널 설계 및 시공 기술개발(19SCIP-B089409-06)’연구단을 통해 수행되었습니다. 연구지원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Road tunnel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s, Korea, pp. 17.
2
Park, J.O., Yoo, Y.H., Kim, H.S., Park, B.J., Kim, Y.G. (2017), "Fire suppression test using the automatic monitor system for double-deck tunnel",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6, pp. 40-46.
10.7731/KIFSE.2017.31.6.040
3
Park, J.O., Yoo, Y.H., Kim, Y.K., Park, B.J., Kim, W.S., Park, S.H. (2018), "Development of remote control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fire suppression in double-deck tunnel",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1, No. 1, pp. 167-175.
4
Yoo, Y.H., Park, S.H., Han, S.J., Park, J.O. (2016), "The study on application of automatic monitor system for initial fire suppression in double-deck tunnel",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8, No. 5, pp. 419-429.
10.9711/KTAJ.2016.18.5.419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