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yword : 록 볼트
All : 149
-
-
2013 Vol.15, Issue 5 pp. 523-536
- Management and concept of the monitoring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sea tunnels
- Eui-Seob Park, Hee-Soon Shin, Dae-Sung Cheon and Yong-Bok* Jung
- 기 때문에 시공하면서 터널을 관찰, 계측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근거하여 설계와 시공법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변경, 수정한다. 즉, 현장계측의 결과를 설계, 시공에 적절하게 반영하면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터널을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NATM 터널에서 실시하는 계측 목적은 다음과 같다. ⦁주변 지반의 변형 거동과 상황 파악 ⦁지보(숏크리트 두께, 록볼트의 타설 길이, 간격 등) 효과 확인 ⦁최종 복...
-
-
2013 Vol.15, Issue 3 pp. 201-214
-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for the reformed lattice girders
- Hak-Joon* Kim, Gyu-Jin Bae and Dong-Gyu Kim
- 1. 서 론 국내 터널에서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NATM 공법은 주로 숏크리트, 록볼트 및 H형 강지보를 일차 지보재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H형 강지보가 자체중량으로 인하여 시공성이 떨어지며 숏크리트 타설시 강지보재 배면과 굴착 지반사이에 공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 등으로 국내 NATM 공법 현장에서는 H형 강지보를 대체한 격자지보 사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국내 격자지보 연구는 KICT (1995, 1996), Moon et al
-
-
2006 Vol.8, Issue 2 pp. 141-149
- A Study of effective installation patterns of face bolts using 3D-FDM analysis
- Kyoung-Won* Seo, Gyu-Jin Bae, Kazuo Nishimura and Tsuyoshi Domon
- 다. 국내에서는 사용예가 드물고 국외에서 적용된 예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페이스볼트는 약 30년 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새로운 재료 및 공법의 개발 등에 의해 사용실적이 급증하고 있다. 이때 페이스볼트는 전면접착식 록볼트 혹은 케이블볼트의 보강기구로써 설명되고 있다. 즉, 변형이 생기는 역방향으로 설치하여 볼트의 축력으로 지반변형을 억제하는 원리로써 설명되고 있다. 막장에서의 변형은 주로 수평방향이 우세하므로 페이스볼트에 대한 ...
-
-
2006 Vol.8, Issue 1 pp. 77-86
- Improvement of Concrete Lining Construction Method in Large Section Tunnel
- Sang-Whang Kim, Kyong-woong Ra and Sung-Yil Koh
- 1. 서론 NATM터널에서는 숏크리트 및 록볼트등 1차지보재 시공단계에서 터널주변 지반변위를 완전히 수렴시킨 후 콘크리트 라이닝을 시공하게 됨으로서, 콘크리트 라이닝이 개념상 구조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지 않음에 따라 그 필요성 여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NATM이론상 콘크리트 라이닝의 구조적 기능이 명쾌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절리가 적은 양호한 암반지반을 제외하고 콘크리트 라이닝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의 터널 기술자
-
-
2006 Vol.8, Issue 1 pp. 31-40
- Study on the Effect of the Bearing Capacity Support of tunnel by Steel Rib in the Colluvial Soils
- Sung-Youll Ahn, Jae-Young Lee and Kyung-Chul Ahn
- 하고 굴착 후 굴착면 전체 혹은 일부에 숏크리트(Shotcrete), 록볼트(Rockbolt), 마이크로파일(Micr-opile) 등의 보강공법이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붕적토층과 같은 연약한 지층에서는 터널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서 보다 과도한 설계가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방춘석 등, 2001; 배규진 등, 2003). 그런데 외국 사례에서는 붕적토층과 같은 연약한 지반에서는 선진보강공법으로 터널의 천단부(crown)를 강관다단그라우팅
-
-
2019 Vol.21, Issue 6 pp. 897-908
- Performance evaluation of high-performance lattice girder using numerical analysis
- Dong-Gyou Kim and Sungyoull Ahn
- 에서만 수행되었다. 숏크리트 및 록볼트가 설치되지 않거나 그 역할을 하지 못할 때 막장 붕괴를 막기 위한 지보재로서의 성능이 기존 격자지보재에 비해 고성능 격자지보재가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Fig. 1은 기존 및 고성능 격자지보재의 모델링과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 격자지보재(Fig. 1(b))와 고성능 격자지보재(Fig. 1(c))는 주강봉과 보조강봉을 연결하는 스파이더 형상 및 제원만 상이할 뿐 모든 제원...
-
-
2021 Vol.23, Issue 6 pp. 393-402
- Analysis on Downtime element of Gripper TBM based on field data
- Jinsoo Park and Ki-Il Song
- 하는 반면, Open TBM의 경우 NATM과 마찬가지로 숏크리트, 록볼트, 강지보재 등으로 보강하기 때문에 Shield TBM에 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마지막으로 기타 항목에는 타 현장과 다르게 기록되어 있는 내용을 모두 포함하여 작성하였다. 기타의 세부 항목으로는 안전점검 및 회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Gripper TBM 장비가 투입된 현장의 전체적인 지반조건은 Table 3. Geological and field
-
-
2015 Vol.17, Issue 1 pp. 33-47
- Study on the optimal construction of a concrete lining in a weathered rock
- Hyeongkeon Kim, Chul Lee, Sun-Woo Lee and Jun-Woo Park
- 의 터널 형상, 지질학적 불연속면 그리고 비선형재료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은 쉴드터널과 같이 지반 이완하중을 세그먼트 라이닝이 모두 지지하는 경우에는 유용하나, NATM을 적용한 터널에서와 같이 1차 지보재인 숏크리트와 록볼트가 모든 하중을 지지하는 개념으로 설계하는 경우, 하중분담율을 콘크리트라이닝에 얼마나 적용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점이 있다. 2.2.2 기존 시설의 설계현황 가) 제1기 서울지하철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