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yword : 록 볼트
All : 149
-
-
2017 Vol.19, Issue 6 pp. 999-1012
- Evaluation of rock load based on stress
transfer effect due to tunnel excavation
- Jae-Kook Lee, Jung-Joo Kim, Hafeezur Rehman and Han-Kyu Yoo
- 1. 서 론 Conventional tunnelling에서는 터널굴착에 따라 발생한 지반이완에 대해 숏크리트 및 록볼트, 그리고 보조공법 등을 적용하여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되며 계측을 통하여 터널 굴착 주변의 변위가 수렴된 것을 확인한 이후에 콘크리트라이닝을 시공한다. 국내 터널설계 개념은 변위가 수렴된 이후에는 콘크리트라이닝에 하중이 작용하지 않지만 공용중에 예상되는 외력에 대비하는 구조체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들
-
-
2023 Vol.25, Issue 4 pp. 261-283
- A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PET fiber reinforcement
- Ri-On Oh, Yong-Sun Ryu, Chan-Gi Park and Sung-Ki Park
- 1. 서 론 국내 터널 굴착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NATM (New Austrian Tunnelling Method) 공법은 터널 주변 지반의 지지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숏크리트(Shotcrete), 록볼트(Rockbolt) 등을 주요 지보재로 활용하는 공법이다. NATM공법에서 주요 지보재로 활용되고 있는 숏크리트는 낙반방지, 내압작용, 응력집중 완화, 풍화방지 및 지반 아치 형성 효과를 발휘하여 터널 굴착 후 조기 안정성을 확보
-
-
2004 Vol.6, Issue 2 pp. 161-169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imilarity rule for tunneling model tests
- Si-hyun Park* and Seok-won Lee
- 시킴 상사성 1),3) 단순 축소율 적용 4),5),6),7) 단순 축소율 적용 10) 휨강성비 적용 실험 목적 1) 복선/교차 터널의 상호 작용 2) 터널보강공의 영향 평가 3) 복개 터널 거동 분석 4),7) 록볼트의 지보 효과 4),5),6),7) 지표면 침하 특성 6),7) 라이닝의 변형 특성 6) 분기공에 의한 영향평가 8),9),10) 지반거동 예측 8) 터널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인자 9) 근접터널 시공의 영향 평가 국내외적으로 터널
-
-
2010 Vol.12, Issue 5 pp. 359-368
- A comparative analysis of prediction and measurement for reinforcement effect of face bolts
- Kyoung-Won* Seo, Woong-Ku Kim, Ki-Hyun Baek and Jin-Woung Kim
- 1. 서 론 터널 굴착중 파쇄대, 붕락부, 토사구간 등 NATM터널의 주지보재인 숏크리트와 록볼트만으로 자립하기 어려운 곳에서는 굴착면의 외곽을 따라 훠폴링, 파이프루프 등을 흔히 적용하고 지반개량 및 차수효과를 얻기 위해서 RPUM(Reinforced Protective Umbrella Method)의 일종인 강관다단그라우팅이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즉 굴착 외곽선에서 막장 전방으로 설치하여 주로 천단을 안정화 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
-
-
2011 Vol.13, Issue 1 pp. 71-82
- A study on pull-out behaviours of shotcrete steel fibers according to different shapes
- Sang-Hwan Kim and Ji-Tae Kim
- 적 요구에 따라 터널 건설이 증가 하는 추세에 있다.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터널시공의 주요 공법으로 NATM공법이 많이 채택되어 이용되고 있다. NATM공법은 원지반의 강도를 유지하고 보강하는 수단으로 록볼트, 숏크리트, 지보재를 이용하여 굴착 후 지반의 변위를 최소한으로 허용하면서 지반의 강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지반과 지보재의 평형을 이루는 것으로 터널의 안전성을 유지시키는 공법이다. 이중 숏크리트는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 없이 숏크리트 장...
-
-
2017 Vol.19, Issue 2 pp. 283-299
- A preliminary study of watertightness and salt water resistance of spray-applied membrane
- Soon-Wook Choi, Tae-Ho Kang, Soo-Ho Chang, Cheol-Ho Lee, Jintae Kim and Myung-Sik Choi
- 1. 서 론 박층 뿜칠 라이너(Thin Spray-on Liners, 이하 TSL)는 광산에서 처음 적용이 시작된 지보재로서, 지보를 위해 광산의 막장까지 숏크리트(shotcrete)를 운반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변형이 큰 지반에서 지반변형이 숏크리트의 내하력을 초과하는 경우가 생김에 따라 록볼트(rock bolts)와 메쉬(mesh), 숏크리트의 대안으로 사용되었다(Tannant, 2001). TSL은 박층이라는 이름과 같이 2~10 mm
-
-
2016 Vol.18, Issue 5 pp. 431-439
- Introduction to the quality evaluation of lattice girder using nondestructive test
- Hyuk-Sang Jung
- 1. 서 론 일반적으로 강지보공은 강재로 제작된 아치형의 터널지보공을 일컫으며 이때 사용되는 강재를 강지보재라고 한다. 강지보재는 NATM공법에서 숏크리트와 록볼트와 함께 터널 굴착시 막장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지보재이며 굴착한 직후 숏크리트가 경화되기 전까지 굴착된 지반의 변형을 억제하여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Jung et al., 2015). 강지보재는 제작된 형상에 따라 H형, U형, I형, Y형 강지
-
-
2015 Vol.17, Issue 6 pp. 675-683
- A study on drainage system of the room-and-pillar underground structure considering groundwater conditions
- Chulho Lee, Younghwan Hyun, Jedon Hwang and Soo-Ho Chang
- (KICT, 2013) 주방식 지하구조에는 별도의 라이닝이나 숏크리트 타설 없이 구조 벽면에 TSL을 시공하고 천정부에는 록볼트를 시공하게 된다. 만약 주방식 지하구조 건설 시 발생용수량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수발공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TSL 배면에 작용하는 수압에 대해서는 사전 대처가 가능하나 전체적인 시공성과 경제성면에서 어려움이 예상된다. 3. 유출수량별 대책공법 검토 및 유출수 실측사례 검토 일본 G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