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yword : 록 볼트
All : 149
-
-
2013 Vol.15, Issue 5 pp. 537-546
- Behavior and pillar stability of enlarged existing parallel tunnels
- Myeong-Han Lee, Bumjoo* Kim, Yeon-Soo Jang, Ji-Nam Yun and Hyun-Gon Park
- 의 3배 이상을 고려하여 지반경계가 해석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고려하였다. 터널 확폭은 2차로 터널에서 4차로 터널로의 확폭을 가정하였으며, 주변 암반 등급은 3등급의 물성을 적용하였다(Table 4 참조). 기존 터널 및 확폭시 터널의 굴착은 전단면 굴착을 실시하였으며, 록볼트로 인한 필라부의 보강효과를 고려하지 않기 위해 지보재는 숏크리트만 시공하는 것으로 모델링 하였고(Table 5 참조), 적용된 하중분담율은 Table 6과 같
-
-
2006 Vol.8, Issue 1 pp. 65-76
- Field Experiment on the Optimization of Concave-Shaped Face Development for Rapid Tunnel-Whole-Face Excavation
- Tae-hyoung Kim and Ji-sun Yoon
- 1. 서론 1.1 개요 최근에 도로의 고속화 및 터널의 이용도가 증가하면서점차 터널의 초장대화가 필요한 시점에서 터널시공의 공사기간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중요도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NATM과 같은 터널공법에서는 굴착 직후 벽면은 숏크리트가 있으나, 막장은 통상 무지보 상태로나 록 볼트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재래공법과 비교하여 암반의 느슨함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막장은 통상 무지보 상태로 놓여있기 때문에 붕괴의 위험
-
-
2010 Vol.12, Issue 4 pp. 329-340
- The prediction of deformation according to tunnel excavation in weathered granite
- Bong-Geun Cha, Young-Su* Kim, Tae-Soon Kwon and Sung-Ho Kim
- , 상하반 링컷 방법이 나누어 실시되었으며 상하행선 시점부는 상하반 분할굴착이 적용되었다. 지보공으로는 쇼크리트 타설, 록볼트, 복공 콘크리트, 격자지보 등이 실시되었으며 시점부 화강암 구간의 터널 지보재로는 16 cm두께의 쇼크리트, 격자지보재, 길이 4 m의 락볼트를 적용되었다. 터널의 천단과 막장의 안정을 위하여 보조공법으로는 포폴링과 강관다단 그라우팅, 대구경 강관 다단 그라우팅이 시공되었다. 용출수 대책으로 deep well 공법
-
-
2010 Vol.12, Issue 6 pp. 451-461
- A numerical study on feasibility of the circled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panel for a tunnel lining structure
- Gyu-Phil Lee and Hyu-Soung* Shin
- 로 나타났다. 따라서 곡면 FRP 부재의 터널구조물 적용시 구조적 안정성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2.수치해석 검토 결과, 터널구조물 천단부에 최대 약 24 mm의 수직변위가 발생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면 FRP를 이용한 터널구조물 시공시 이러한 변위 발생수준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을 시에는 콘크리트 타설 이전 단계에 록볼트 등을 이용하여 곡면 FRP 부재와 원지반을 일체화 시키는 등의 조치를 통해 제어가 가능할 것으로 판...
-
-
2020 Vol.22, Issue 5 pp. 543-561
- A study on the effect of support structure of steel rib in partitioning excavation of tunnel
- Ki-Hyun Kim, Yeon-Deok Kim, Beoung-Hyeon Hwang, Yong-Kyu Choi and Sang-Hwan Kim
- 되도록 숏크리트, 록볼트, 강지보재 등의 주지보재를 이용해 터널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터널 굴착 시 상 ‧ 하 반단면 굴착 시 상반굴착 후 강지보재 설치 시 지반이 불량한 경우, 강지보재 지지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강지보재가 침하되며 이에 내공단면의 유지가 곤란하고 강지보재의 변형 등을 초래하여 터널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 하게 된다. 또한 하반굴착 시 강지보재의 기초부가 하반굴착에 따라 강지보재의 하중 및 측압 등의 영향으로 강지보...
-
-
2014 Vol.16, Issue 1 pp. 51-61
- Generation of blast load time series under tunnelling
- Jae-Kwang Ahn, Duhee Park, Young-Wan Shin and Inn-Joon Park
- 의 벽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재하하였다. 해석 결과, 추정식에 비하여 진동을 과대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반의 감쇠비를 15%까지 적용하였을 경우 계측된 기록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지반의 감쇠비로 15%를 적용한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이는 추정식으로 발파하중을 조절할 경우, 발파하중을 크게 과대예측한다. Jeon et al. (2007)은 발파진동이 인접한 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과 록볼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2
-
-
2025 Vol.27, Issue 1 pp. 23-43
- The numerical analysis study on the necessity of backfill grouting for cast-in-place concrete lining
- Hong-Joo Lee, Ki-Il Song, Young-Gyun Na, Tack-Woo Lee and Dong-Gun Lee
- 압이 발생한 시나리오(Scenario(2))를 설정하였다. 이때, 1차 지보재의 열화는 해석 모델에서 숏크리트와 록볼트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모델링 하였으며( Fig. 8. Scenario&Boundary condition considering long-term behavior Table 7. Numerical analysis cases Condition Cover depth Ground water condition Support pattern
-
-
2019 Vol.21, Issue 5 pp. 717-733
- Assessment of NATM tunnel lining thickness and its behind state utilizing GPR survey
- Jin-Ho Choo, Chang-Kyoon Yoo, Young-Chul Oh and In-Mo Lee
- 800 400 ± 200 3 20 S: single rebar Fig. 3. GPR survey array performed in NATM tunnels 3. NATM터널 콘크리트라이닝 시공평가 3.1 시공절차 및 진단 일반적인 NATM터널 라이닝의 시공은 Fig. 4와 같이 ①1차지보(록볼트, 강지보, 숏크리트)를 시공한 이후에 계측 변위의 수렴을 확인하여 ②부직포와 방수막을 설치한다. 시공이음 길이에 맞추어 제작한 강재거푸집을 1차지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