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yword : 록 볼트
All : 149
-
-
2015 Vol.17, Issue 6 pp. 605-614
- A preliminary study on the excavation sequence of a room-and-pillar underground structure by the drill-and-blast method
- Chulho Lee, Younghwan Hyun, Junho Song and Soo-Ho Chang
- 공정은 천공-발파, 버력처리, 숏크리트, 록볼트 설치 등(Chun et al., 2006)으로 구분되나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굴착에 소요되는 모든 요소들을 고려하여 공정을 도출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발파 공정 가운데 발파 허용시간, 발파 사이클 타임 및 계획부지의 규모에 따른 굴착장비 운용시간을 대상으로 하여 주방식 공법의 굴착공정을 검토하였다. 2.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굴착공정 검토 2.1 발파 허용 시간 우리나라에서 발파...
-
-
2025 Vol.27, Issue 2 pp. 115-134
- Prediction of tunnel stability in low-carbon concrete lining by finite element analysis
- Chan-Yeong Lee, Ji-Na Kim and Yong-Joo Lee
- 을 가능하게 한다. 15-절점 삼각형 요소는 Fig. 2. 15-node triangular element and 12 stress points 3.1 수치해석 개요 본 연구에서는 굴착 과정 및 숏크리트, 록볼트, 강지보재과 같은 주 지보재 이후, 보조 지보재로서 콘크리트라이닝을 시공하였다. 수치해석을 위한 mesh, 지층 구조, 경계조건은 2으로 설정하였다. 콘크리트라이닝이 지보재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는 대체로 지반조건이 불량한 경우이다. 이
-
-
2003 Vol.5, Issue 2 pp. 101-113
- The estimation of the behavior of urban shallow subway tunnels
being applied external load
- Jeung-Suk Lee, Kwang-Ho You, Yeon-Jun Park and Kyung-Jong Baek
- (tf/m3) 점착력 (tf/m2) 내부 마찰각 (Deg) 포아송비 풍화암 10,000 2.0 5.0 30 0.35 연 암 50,000 2.1 5.0 31 0.30 100,000 2.1 5.0 31 0.30 경 암 300,000 2.4 50.0 35 0.28 구조물의 신축에 따른 지반거동의 정확한 평가를 위하여 숏크리트 두께는 비교적 얇은 두께인 10cm로 적용하고 록볼트는 모델링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지반은 풍화암, 연암, 경암층을 대상
-
-
2005 Vol.7, Issue 2 pp. 97-108
- Effect of Tunneling and Groundwater Interaction on Tunnel Behavior
- Chung-sik* Yoo, Sun-bin Kim, gyu-jin Bae and hyu-sung Shin
-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두께 15 m의 화강 풍화토층이 화강 풍화암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터널은 화강 풍화암층에 시공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주 지보재로 두께 30 cm의 숏크리트가 시공되며 하루당 2 m의 굴진속도로 시공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Shin 등 2002). 해석의 편의상 록볼트는 모델링에서 제외하였다. 한편, 일반적인 도심지에서의 시공조건을 반영하여 터널시공으로 인해 지하수가 저하되는 ‘지하수
-
-
2009 Vol.11, Issue 2 pp. 141-150
- A feasibility study on the estimation of a potential relaxed zone
in the discontinuum coupled analysis of a subsea tunnel
- Kwang-Ho You
- 1. 서 론 급변하는 국제 관계를 고려할 때 가까운 미래에는 지하공간 및 해저터널 등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해저시설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불연속면이 발달한 암반 내에 해저터널을 건설할 경우 정확한 설계 및 시공을 위해서 수리-역학적 연계해석이 필요하다. 천병식과 신영완(2001)에 의하면 숏크리트와 록볼트 등의 1차 지보재가 터널의 시공 및 운영기간 동안 암반이완하중을 충분히 지지
-
-
2009 Vol.11, Issue 4 pp. 437-447
- The control method for axial cracks on NATM tunnel linings
- Xiu-Mei Zheng and Inn-Joon Park
- 으며, 그 주원인은 1차 지보재(숏크리트, 강지보재, 록 볼트)의 내구성이다. 토피가 얇은 토사라고 해도 터널에서 1차 지보재가 영구한 안정성을 확보해 줄지 의문이다. 또한, 대부분 터널은 도심지 혹은 그 외곽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도시 기능 집약현상이 현저한 국내 실정으로 보면 터널 인근에 공사를 진행하거나 토피가 얇은 상부 층에 공사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것은 터널하중조건 또는 지하수조건 등을 변화시키지만 합리적인 터널 ...
-
-
2011 Vol.13, Issue 6 pp. 501-517
- A study on critical strain based damage-controlled test for the evaluation of rock tunnel stability
- Kang-Hyun Lee, Do-Hoon Kim, Jeong-Jun Park and In-Mo Lee
- 을 시사한다. 그림 1. 일축압축시험에 의한 응력-변형률 곡선 그림 2. 실내실험에서 얻은 일축압축강도에 따른 한계변형률 분포도(Sakurai, 1982) (a) 천단변형률과 손상수준 (b) 내공변형률과 손상수준 그림 3. 계측 변형률과 손상수준사이의 관계(Sakurai, 1997) 표 1. 터널에 발생한 손상종류(Sakurai, 1997) 번호 손상 종류 1 터널 막장 유지의 어려움 2 숏크리트의 균열 또는 파괴 3 강지보재의 좌굴 4 록볼트
-
-
2019 Vol.21, Issue 3 pp. 433-452
- A study on evaluation of flexural toughness of synthetic fiber reinforced shotcrete
- Kyoung-Sun Moon, Seog-Jin Kim, Yeon-Deok Kim, Byeong-Heon Min and Sang-Hwan Kim
- 부분의 터널은 1980년대에 도입된 NATM (New Austrian Tunnelling Method)공법에 의하여 굴착되고 있으며, NATM공법은 터널주변지반의 지지능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숏크리트(shotcrete)와 록볼트(rock bolt) 등을 주지보재로 활용하여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국내 ‧ 외에서 검증된 터널 굴착공법이다. NATM터널의 주요한 지보재로 적용되는 숏크리트(shotcrete)는 낙반방지, 내압작용, 응력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