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yword : 록 볼트
All : 149
-
-
2016 Vol.18, Issue 4 pp. 341-354
- Analysis on the tunnel behavior characteristic in the excessive fractured zone distribution of rock area
- Jae-Weon Park and Seung-Ho Lee
- 20 1,100 1,040 90 7 50 10 1,060 1,030 95 5.4.4 하중분담율 2차원 해석시 막장의 종방향 아칭효과에 의해 3차원적인 지반거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지반조건에 따른 지보패턴 및 굴착조건을 고려한 3차원 지보패턴 해석결과와 경험식을 비교·검토하여 2차원 해석에 적용할 분담율을 산정하였으며, 굴착단계 40%, 숏크리트(경화전)와 록볼트 시공시 30%, 숏크리트 경화 시 30%로 적용하였다(Table 4). 5.4.5
-
-
2016 Vol.18, Issue 2 pp. 195-211
- A knowledge-based study on design of NATM lining for subsea tunnels
- Chunwon Sin, Seungjoo Woo and Chungsik Yoo
- 되는 암반, 산사태 지역, 단층 파쇄대에 대해서는 별도의 지보패턴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별도로 유한요소법에 의해 해석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Method, FEM)은 터널주변 암반을 작은 요소로 분할하고 그 절점에 작용하는 외력으로부터 변위를 구하고 이 변위로부터 각 요소의 변형률, 응력을 산출하는 기법이다. 대개는 숏크리트나 록볼트 같은 1차 지보재가 기능 상실시 2차 지보재로서 ...
-
-
2015 Vol.17, Issue 4 pp. 415-428
- A manual for the revised TBM tunnel specification
- Myung Sagong, Chi Kwang Jung, Joon Bai Moon, Jeayoung Kim, Do Sik Yun and Myeong Han Yu
- 헤드 후방에 설치된 지보재 시공장치에 의해 지보를 수행하여야 하며 안정성이 낮은 암반에서는 강지보, 록볼트 등을 설치하고 즉시 숏크리트 타설이 가능하도록 타설장비의 설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Fig. 6. Equipment components of open TBM (https://www. herrenknecht.com/en/home.html) 개방형 TBM 공법의 경우 굴진 시작 후 공법의 변경이 어려우므로 시공에 앞서 충분한 시공계획의 검토
-
-
2019 Vol.21, Issue 1 pp. 1-29
- Analysis and cause of defects in reinforced cement concrete lining on NATM tunnel based on the Precise Inspection for Safety and Diagnosis - Part I
- Jinho Choo and Inmo Lee
- and Jeong, 2014). NATM 주지보재인 숏크리트와 록볼트의 장기 사용성에 대한 연구는 지하수 영향으로 인한 숏크리트 및 그라우트의 용탈(Choi and Yang, 2013; Gérara et al., 2002; Tan et al., 2017), 지보재의 부식 및 열화(Thumann et al., 2015; Zeng et al., 2011; Usman and Galler, 2013) 등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종 터널
-
-
2014 Vol.16, Issue 6 pp. 521-531
- A numerical study on pull-out behaviour of cavern-type rock anchorages
- Eun-Soo Hong, Gye-Chun Cho, Seng Hyoung Baak, Jae-Hyun Park, Moonkyung Chung and Seong-Won Lee
- 하고, 경제적인 앵커리지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 인장력을 받는 앵커의 파괴모델 암반에 설치되는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의 거동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 결과는 거의 없다. 지중정착식 앵커리지와 유사한 거동을 할 것으로 추정되는 지중 구조물은 록앵커, 앵커볼트, 인장말뚝 등이 있다. 이러한 지중 구조물의 거동은 대상지반, 작용하중, 구조물 규모와 강성 등이 다르므로 실제 현수교 앵커리지와 다를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