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yword : 록 볼트
All : 149
-
-
2022 Vol.24, Issue 6 pp. 617-628
-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tunnel support patterns using ANN and SVR algorithms
- Je-Kyum Lee, YangKyun Kim and Sean Seungwon Lee
- 1. 서 론 터널 건설 시 록볼트, 숏크리트, 강지보와 같은 1차 지보재와 콘크리트 라이닝으로 대표되는 2차 지보재를 사용하며, 추가적으로 필요에 따라 강관다단 그라우팅과 같은 보조공법을 사용한다. 다만, 설계 단계에서는 아직 굴착 되지 않은 터널의 암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암반등급에 따라 다양한 지보재를 적절히 병용하여 지보패턴을 결정하게 된다. 지보패턴의 설계방법으로는 크게 세 가지 방식이 있는데, 첫 번째는 여러 시공
-
-
2007 Vol.9, Issue 4 pp. 323-330
- A study on the longitudinal optimum separated distance of tunnel face in 2-arch tunnel
- Min-Kyu Lee, Ji-Su Jeong, Sung-Ki Lee and Seung-Ho Lee
- 하였고(Kamimura, 1997) 오야마다이리 터널의 경우 숏크리트 두께 증가와 PC록볼트를 이용한 보강을 수행하였으며, 터널 변위, 강지보재의 응력 및 숏크리트의 응력을 측정한 결과 선행터널 상반의 숏크리트 응력이 높게 나타났다(Kobayashi, 1994; 김도식 등, 2004). 2-Arch 터널의 경우 횡방향 이격거리가 없이 2개의 본선터널이 중앙벽체를 사이에 두고 굴착되며, 기존 문헌을 살펴보면 동시굴착 공법을 적용하므로써 응력...
-
-
2012 Vol.14, Issue 6 pp. 561-573
- 강우로 인한 터널내부 과다변위 사례 연구
- Nag-Young Kim, Hong-Jong Kim, Young-Seok Oh and Chang-Yong Kim
- 5304.348 121.422 4576.992 104.37 37820.84 93.688 allowable value 8232 99.274 8232 99.274 8232 99.274 - O.K N.G O.K N.G O.K O.K 터널 미굴착구간중 STA.17+564~17+604 구간에 천단부 대구경 강관보강그라우팅을 시공하고 측벽은 락볼트로 보강하는 조건상에서 안정성 검토 결과, 사면 절취전 터널 시공시 변위 및 록볼트 축력이 허용치를 만...
-
-
2008 Vol.10, Issue 2 pp. 167-175
- Applicability of the single shell tunnel in Korea from the economic evaluation
- Hak-Joon* Kim and Hyu-Seong Shin
- 에 전단력이 전달되는 구조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같은 투입재료 재원으로 총 라이닝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총 공사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싱글쉘 공법에 대한 관심 및 필요성이 증가하여 이 분야에 대한 연구(신휴성 등, 20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6)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싱글쉘 공법에 필요한 고강도, 고내구성의 숏크리트와 록볼트에 대한 개발(박해균 등, 2003
-
-
2010 Vol.12, Issue 3 pp. 201-213
- Research on the support system and reinforcement range of cross passage tunnel
- Min Jung, Ki-Hwan Han, Jin-Won Park, Kyung-Min Baek and Hoon-Ki* Moon
- 적으로 0.7과 1.5로 부여함으로써 역해석의 효율성을 꾀하였다. 3.2 현장계측 피난연결통로 구간의 지반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 시공 중인 고속도로 터널에 계측을 위한 시험위치(Test Site)를 총 3개소(대인용 피난갱 2개소, 차량용 피난갱 1개소) 선정하고 피난연결통로 굴착시 천단변위, 내공변위, 지중변위, 숏크리트 응력, 록볼트 축력을 측정하였으며, 암반등급 및 계측시기는 표 6에 나타내었으며 피난연결통로의 계측항목은 표 7에 표기
-
-
2013 Vol.15, Issue 6 pp. 599-612
- A preliminary study on economical efficiency of a room-and-pillar excavation method in comparison with 2-arch tunnelling method
- Chulho Lee, Soo-Ho Chang, Sung-Youll Ahn and Hyu-Soung Shin
-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반의 등급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절리면의 거동을 방지할 수 있는 록볼트와 이완 암반의 탈락을 방지하는 숏크리트 정도의 설계로도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국내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 도로터널, 철도터널 등의 단면과 설계지보량을 이용하여 설계를 하는 경우에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 Table 7은 대표적으로 지반의 일축압축강도가 30 MPa인 조건에서 심도와 암주의 크기에 따른 설계 지보압을 계산한 결과이
-
-
2008 Vol.10, Issue 2 pp. 119-128
- A study on asymmetric load on circular shaft due to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discontinuous rock masses
- Young-Wan* Shin, Kyoung-Sun Moon and Kyoung-Won Joo
- 된 결과를 적용하였으며, 암반 특성값은 각 과업의 암반등급별 특성값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하는 수직구는 깊이 100 m의 응력조건에서 측압계수는 1.0이고 암반등급은 I등급인 조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직구 3차원 거동의 2차원해석을 위한 하중분담률은 시공순서에 따라 굴착-연한숏크리트 및 록볼트-굳은숏크리트의 단계로 나눠 60%-20%-20%를 적용하였다. 3.2수직구 깊이에 따른 암반등급의 영향 검토 조건 일반적으로 지표로부터 깊...
-
-
2019 Vol.21, Issue 4 pp. 479-499
- A re-appraisal of scoring items in state assessment of NATM tunnel considering influencing factors causing longitudinal cracks
- Jin-Ho Choo, Chang-Kyoon Yoo, Young-Chul Oh and In-Mo Lee
- 의 균열제어로 Pattern 5에서 가장 낮은 균열밀도가 확인되었다. 기존 연구로 4.2 지보재 시공조건의 영향 Appendix Table 1과 같은 지보패턴을 구성하는 숏크리트 두께, 강지보의 간격, 록볼트의 간격 등의 지보재 시공환경에 따른 종방향균열 발생밀도를 철근구간이 배제된 지보패턴 1~4에 대하여 Fig. 6과 같이 나타내었다. 동일 지보패턴에서는 숏크리트 두께가 두꺼울수록, 강지보 간격이 좁을수록, 록볼트 유효면적(종 ‧ 횡 간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