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Paper

    Correlation between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defect progress of concrete lining in urban railway tunnels

    도심지 철도터널 내 온도분포에 따른 콘크리트라이닝 결함 진행의 상관관계

    Jinho Choo, Chang-Kyoon Yoo, Jin-Woo Park, Kwang-Lim Park

    추진호, 유창균, 박진우, 박광림

    Although temperature fluctuations inside tunnels are generally smaller than those observed in above-ground structures, they can still lead to freeze-thaw cycles in …

    터널 내 온도변화는 지상 구조물과 비교하여 크지 않지만 한냉지역에서는 동결융해,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에서는 이음부에서 누수량 변화를 야기한다. 도심지 6개 정거장으로 구분되는 철도터널 …

    + READ MORE
    Although temperature fluctuations inside tunnels are generally smaller than those observed in above-ground structures, they can still lead to freeze-thaw cycles in cold regions and cause variations in joint leakage in areas with high groundwater levels. This study examines temperature variations in an urban railway tunnel, divided into six station sections, over a six-month period. Using 55 Bluetooth sensors, temperatur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ainline tracks, ventilation shafts, and station areas. The maintenance influence factors on defect quantities are identified in precise inspection for safety and diagnosis (PISD) conducted at 10, 15, and 20 years after the completion. Based on these PISD results, defect quantities were estimated, and relevant maintenance-related influencing factors were incorporated into the analysis. The study examined daily and monthly temperature distributions by section,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he mainline and ventilation shafts, and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t various locations within the tunnel to identify correlations with different defect typ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fluctuations in tunnels and defect occurrence is investigated. The analysis reveals that as the range of temperature variation increases, the amount of crack decreases, whereas the occurrence of leakage and efflorescence increa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mperature distribu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manifestation of tunnel defects, indicating the need for maintenance strategies that incorporate environmental temperature conditions for improved defect prediction and mitigation.


    터널 내 온도변화는 지상 구조물과 비교하여 크지 않지만 한냉지역에서는 동결융해,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에서는 이음부에서 누수량 변화를 야기한다. 도심지 6개 정거장으로 구분되는 철도터널 내 본선, 환기구, 정거장 온도변화를 블루투스 센서 55개를 이용하여 6개월간 측정하였다. 해당 구간에 대해 준공 후 10년, 15년, 20년 정밀안전진단 결함 물량에 유지관리 영향 인자를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구간별 일별, 월별 온도분포, 본선과 환기구의 온도분포, 다양한 위치별 온도분포에 따른 결함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결함별 물량 변동과 터널 내 온도분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그 원인을 추정하였다. 터널 내 온도변화 폭이 증가함에 따라 균열은 감소하였으며 누수 및 백태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도분포의 변화가 터널 결함 발생 양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하며, 유지관리 전략 수립 시 온도 환경을 고려한 결함 예측 및 대응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Paper

    Development of satellite-based ground displacement monitoring system for power transmission tunnel construction

    인공위성을 활용한 전력구 공사 지반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Kang-Ryel Lee, Tae-Zin Ahn, Hee-Hwan Ryu, Shin-Kyu Choi

    이강렬, 안태진, 류희환, 최신규

    This study developed a satellite-based ground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detecting ground deformation occurring during power transmission tunnel construction and identifying …

    본 연구에서는 터널식 전력구 공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반 변위를 효과적으로 관측하고, 위험 징후를 조기에 인지할 수 있는 인공위성 기반 지반 …

    + READ MORE
    This study developed a satellite-based ground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detecting ground deformation occurring during power transmission tunnel construction and identifying early precursors of potential hazards. In particular, satellite-based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data, which are less affected by diurnal or meteorological conditions, were employed to overcome the spatial and operational limitations of conventional point-based displacement monitoring instrumentation. The system incorporates InSAR analysis using Sentinel-1 radar imagery and provides analysis results through a web-based visualization, thereby enhancing user accessibility and operational convenience. The developed system was applied to a power transmission tunnel construction site in Cheongju, and the satellite-based InSAR analysis exhibited a deformation trend comparable to that of ground settlement measurements, confirming its reliability and field applicability. In addition, the automated data acquisition, analysis, risk assessment, and GIS-based visualization functions suggest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the system for establishing a proactive risk prediction and response framework for various power infrastructure facilities. The developed system is expected to be further extended to various types of power infrastructure, including substations, transmission towers, and underground distribution facilities. Moreover, integration with diverse satellite datasets and AI-based analysis is anticipated to enhance both the real-time capability and accuracy of the system.


    본 연구에서는 터널식 전력구 공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반 변위를 효과적으로 관측하고, 위험 징후를 조기에 인지할 수 있는 인공위성 기반 지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특히, 주 ‧ 야간 및 기상 조건에 영향을 최소화할 있는 인공위성 레이다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기존 점 기반 변위 계측 방식이 가진 공간적 제약과 장비 유지관리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본 시스템은 Sentinel-1 레이다 영상을 활용한 InSAR 분석 기능과 웹 기반 시각화를 통해 분석 결과를 제공하며, 사용자 접근성과 운용 편의성을 높였다. 실제 청주 전력구 공사 현장에 개발된 시스템을 적용하여 인공위성 InSAR 분석을 수행하였고, 지표침하계 측정값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신뢰성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동화된 영상 수집 및 분석, 위험도 평가, GIS 기반 시각화 기능 등을 통해 향후 다양한 전력설비에 대한 사전 위험 예측 및 대응 체계 구축에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본 시스템은 변전소, 송전탑, 배전설비 등 다양한 인프라에 확대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위성 자료와 인공지능 기반 분석 기법을 연계함으로써 실시간성과 분석 정밀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Paper

    Performance verification of deep-learning based tunnel crack detection using no-reference image quality assessment

    무참조 이미지 품질 평가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터널 균열 검출 성능 검증

    Chulhee Lee, Dongku Kim, Donggyou Kim

    이철희, 김동구, 김동규

    The safety assessment of tunnel structures heavily relies on the accuracy of crack detection on concrete linings. While deep learning (DL) based …

    터널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는 콘크리트 라이닝의 균열 검출 정확도에 크게 좌우된다. 최근 딥러닝(deep-learning, DL) 기반 자동화 기술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으나, 고속으로 이동하며 …

    + READ MORE
    The safety assessment of tunnel structures heavily relies on the accuracy of crack detection on concrete linings. While deep learning (DL) based automation is being actively adopted, image quality degradation due to motion blur (MB) inherent to mobile tunnel scanning systems (MTSSs) that capture images at high speeds remains a primary factor undermining crack detection performance.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based crack detection model by using no-reference image quality assessment (NR-IQA) to pre-filter low-quality images. An experimental dataset was constructed by applying directional MB of varying intensities to actual MTSS images. The quality of these images was then scored using four NR-IQA metrics (BRISQUE, NIQE, PIQE, and CPBD). Subsequently, the correlation and sensitivity between the NR-IQA scores and the crack detection performance (F1-score) of a Dynamic U-Net model were analyzed. The results confirmed the critical impact of quality degradation on performance, with the F1-score dropping sharply from 89.43% to 4.45% as MB intensity increased. Notably, the CPBD, PIQE, and NIQE metrics demonstrated a very high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the F1-score, proving their viability as reliable indicators for predicting model performance. This study experimentally verified that NR-IQA is an effective tool for quantitatively assessing the quality of MTSS images and, based on this assessment, systematically managing input data to enhanc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DL models.


    터널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는 콘크리트 라이닝의 균열 검출 정확도에 크게 좌우된다. 최근 딥러닝(deep-learning, DL) 기반 자동화 기술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으나, 고속으로 이동하며 촬영하는 이동식 터널 스캐닝 장비(mobile tunnel scanning systems, MTSSs)의 특성상 모션 블러(motion blur, MB)로 인한 이미지 품질 저하는 균열 검출 성능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참조 이미지 품질 평가(no-reference image quality assessment, NR-IQA) 기법을 활용하여 저품질 이미지를 사전에 필터링함으로써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기반 균열 검출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제 MTSS 이미지에 방향성을 갖는 MB를 단계적으로 적용한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4종의 NR-IQA 지표(BRISQUE, NIQE, PIQE, CPBD)로 품질 점수를 산출하였다. 이후, Dynamic U-Net 모델의 균열 검출 성능(F1-score)과 NR-IQA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MB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F1-score는 89.43%에서 4.45%로 급감하여 품질 저하가 성능에 미치는 치명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특히, CPBD, PIQE와 NIQE 지표는 F1-score와 매우 높은 통계적 상관관계 결과를 보여, 모델 성능을 예측하는 신뢰성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NR-IQA가 MTSS의 이미지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입력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CNN 모델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임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Paper

    A study on the utility tunnel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using grey clustering

    Grey clustering을 활용한 공동구 성능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Yongjun Lee, Young-Jong Sim

    이용준, 심영종

    Utility tunnels are essential underground structures in urban areas that accommodate various utility systems such as power, telecommunications, and water supply. Their …

    공동구는 전력, 통신, 상수도 등 다양한 공급설비를 수용하는 중요한 도시 지하시설물로 대규모 토지개발 및 신도시 조성에 따라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 READ MORE
    Utility tunnels are essential underground structures in urban areas that accommodate various utility systems such as power, telecommunications, and water supply. Their demand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due to large-scale land development and the creation of new cities, emphasizing the need for systematic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is study proposes a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grey clustering (GC) technique, which quantitatively assesses the comprehensive performance of utility tunnel structures—including safety, durability, and usability—and classifies them into performance grade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The GC method utilizes weighting factors for evaluation items and whitening weighting functions to calculate comprehensive GC coefficients for each performance grade, enabling the classification of tunnel structure performance into quantitative indicators.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to three actual utility tunnel structures, an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each structure could be quantified into five performance grades. This demonstrates the model’s applicability as a rational basis for future maintenance planning and performance improvement decision-making.


    공동구는 전력, 통신, 상수도 등 다양한 공급설비를 수용하는 중요한 도시 지하시설물로 대규모 토지개발 및 신도시 조성에 따라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공동구의 체계적인 유지관리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구의 안전성, 내구성, 사용성을 포함한 종합적인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성능등급을 분류할 수 있는 Grey Clustering (GC) 기반 성능평가 모델을 제안하였다. GC 기법은 공동구 성능평가 항목의 가중치와 백색화 가중치 함수를 활용하여 성능등급별 종합 GC 계수를 산정하고 해당 공동구의 성능등급을 정량적인 지표로 분류하는 방법이다. GC 기법 기반의 성능평가 모델을 실제 공동구 3개소에 적용한 결과, 각 공동구의 성능을 5단계 등급으로 정량화할 수 있었다. 향후 공동구의 유지관리 및 성능개선 의사결정을 위한 합리적인 기준으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1 July 2025
  • Research Paper

    Prediction of long-term tunnel behavior using a ground strength degradation model

    지반 강도저하 모델을 이용한 터널장기거동 예측

    Jungkuk Kim, Heesu Kim, Sangyun Kim, Byounghun Kim, Hoki Ban

    김정국, 김희수, 김상윤, 김병훈, 반호기

    Tunnels play a critical role in improving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by enabling the efficient use of underground space. However, as tunnel operation …

    터널은 지하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교통 및 물류 흐름을 개선하는 핵심 인프라이다. 그러나 운영 기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주변 지반의 열화로 인해 …

    + READ MORE
    Tunnels play a critical role in improving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by enabling the efficient use of underground space. However, as tunnel operation periods are prolonged, the surrounding ground undergoes degradation, resulting in cumulative deformation of the tunnel subgrade and potential impacts on structural stability.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long-term behavior of tunnel structures by conducting a numerical analysis of subgrade heaving over a 30-year service period, using a ground strength degradation model. The material property changes corresponding to 10~70% ground degradation were derived based on degradation coefficient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these coefficients were continuously applied over time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subgrade uplift behavior. The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mmercial finite element program ABAQUS. The results showed that after 30 years, the vertical displacement reached 43.13 mm without an invert, whereas it was reduced to 3.98 mm with an invert, confirming over 90% reduction in deform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stallation of an invert is advantageous for maintaining long-term tunnel stability, even under severe ground degradation conditions.


    터널은 지하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교통 및 물류 흐름을 개선하는 핵심 인프라이다. 그러나 운영 기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주변 지반의 열화로 인해 터널 노반의 수직변위가 발생하고, 이는 구조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터널 구조물의 장기 안정성 확보를 목적으로, 지반 강도저하 모델을 기반으로 터널 공용기간인 30년 동안 노반의 수직변위를 확인하고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지반 열화율 10~70%에 따른 물성치 변화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모델 계수를 적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시간 경과에 따라 연속적으로 적용하여 노반의 수직변위 및 터널 주변 지반의 소성변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해석은 상용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여 터널공용기간인 30년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30년 후 수직 변위는 인버트 미설치 시 43.13 mm, 설치 시 3.98 mm로 약 90% 이상의 저감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열화율이 높은 조건에서도 인버트가 장기 안정성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COLLAPSE
    31 July 2025